아프리카아프리카 교회 성향과 부흥 (1)

[아프리카 교회의 예배 모습]

서구 사람들은 아프리카에 대한 그릇된 편견을 갖고 있다. 그들은 아프리카가 거대한 대륙이며 복잡한 문화와 다양한 언어가 공존한다는 사실을 잊곤 한다. 또한 서구인들은 지도에서 53개의 나라가 존재하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을 과거 북미 대륙보다 작게 그려 놓았지만 지금은 골-피터스 도법(Gall-Peters projection)이 발명되어 수정되었다. 서구 열강들은 1884년 아프리카인()은 한 명도 참가하지 않은 베를린 회의(Berlin Conference)에서 모여 아프리카의 복잡성은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방법으로 대륙을 분할하여 아프리카의 상황을 악화시켰다.
2100
개의 언어가 존재할 만큼 가장 다양한 대륙 아프리카는 현재 국민과 자원을 착취하는 정부, 잔혹한 내전, 극심한 가난, 창궐하는 전염병, 열악한 교통과 기반시설로 악명이 높다.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의 전() 아프리카 담당 기자였던 로버트 게스트(Robert Guest)는 아프리카를 가리켜 ‘족쇄에 묶인 대륙(Shackled Continent)’이라고 묘사한 바 있다.
아프리카는 1960년대부터 6천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경제적 원조를 받으며 수십 년 동안 ‘발전’에 힘썼지만 삶의 질은 계속 내리막이다. 세계 은행(World Bank)에서 발표하는 각 나라별 ‘인간 개발 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목록에 따르면 최하위 40개의 나라 중 33개의 나라가 아프리카 대륙에 위치해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일인당 평균 소득은 미국의 5%에도 미치지 못한다.
아프리카 사람들의 대화에는 과거의 노예 제도와 식민 지배, 그리고 현재의 세계화가 동시에 공존한다. 아프리카 대륙에 남겨진 수많은 상흔은 아프리카 인들이 스스로 자초한 것이기도 하다. 아랍인들과 유럽인들의 아프리카 착취는 이 후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부정부패와 폭력, 무능한 정부로 이어져 아프리카를 50년 전보다 훨씬 가난하게 만들었다. 한 예로 지난 1957년 아프리카 대륙의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서구 열강(영국)으로부터 독립한 가나는 당시 전쟁으로 황폐했던 한국의 경제 사정과 거의 비슷했으나 약 50년이 지난 지금 한국의 경제 규모(GDP)는 가나의 약 40배에 이른다.
이와 같은 아프리카의 참담한 상황에서, 역동적이며 놀랍게 성장하고 있는 아프리카 교회와 그 역할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아프리카 교회는 아프리카 사회에서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로 아프리카의 각종 악덕에 대항해 왔다.
세계 기독교 변화를 연구하는 필립 젠킨스(Philip Jenkins) 박사는 그의 저서 ‘기독교의 새로운 국면: 3세계에서 성경을 믿는다는 것(The New Face of Christianity: Believing the Bible in the Global South)에서 아프리카 성공회 교회와 세계 성공회 사이의 균열은 더 이상 피할 수 없고 또 해결하기도 어려울 것이라 전망했다. 미국인과 아프리카인은 같은 성경을 사용하지만 매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한다. 복음주의적 성향이 강하고 교세가 급속히 확장되며 에이즈, 기근, 부정부패 등의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는 아프리카의 성공회 교회는 성경을 보다 복음주의적으로 읽으려는 성향을 갖고 있다. 아프리카인들은, 성경이 삶과 신앙 전반에 권위 있는 가르침을 주며, 성경 말씀이 문자 그대로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라고 믿는다. ,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의 신앙은, 세상 풍류에 휘말리다가 성경을 읽고 ‘참으로 하나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셨단 말인가요?” 라고 반문하는 현대 서구인들의 신앙 방식하고는 맞지 않는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에게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나 성() 정체성은 가장 기본적인 창조 질서 중 하나다.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성경의 기본 진리를 어설프게 믿으면 이웃 무슬림의 비웃음을 살 뿐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미국의 자유주의적인 성공회 기독교인들과 나이지리아의 보수적인 성공회 기독교인들이 충돌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역동 신학(Dynamic Theology)은 성경이 특수한 사회 상황과 맞물렸을 때 등장한다. 지난 2006년 한 권짜리로 출간된 아프리카 성경 주석서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교회 성장률을 보이는 아프리카의 독특한 신학적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천사, 악마, 권능, , 환상, 여성할례(Female Genital Mutilation), 에이즈, 성년 의식(Initiation Rites), 난민, 노예제도, 금기, 계대 결혼(widow inheritance, 자식 없이 죽은 형제의 대를 이어주기 위해 친형제나 친척 중 하나가 죽은 형제의 부인과 결혼하여 아이를 낳아주는 관습, 역주) 등과 같은 주제는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접하는 독특한 문제들이다.
아프리카의 신앙 행태는 서구인들이 보기에 당황스럽다. 물론 아프리카인들은 그들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신앙의 기준을 어디까지나 삶의 현실에 맞춰 정하려고 한다. 정립된 신학이나 예배의식을 낯설고 심지어 충격적인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해롤드 터너(Harold Turner), 데이비드 바렛(David Barrett), 뱅게트 순드클러(Bengt Sundkler), 크와메 베디아코(Kwame Bediako), 마르티누스 다닐(Marthinus Daneel)과 같은 학자들은 아프리카 독립교단(African Independent Churches), 아프리카 독자교단(African Initiated Churches) 혹은 아프리카 설립교단(African Instituted Churches) 등으로 불리는 아프리카 교회의 변화를 연구했다. 아프리카 독립교단(AIC)은 초자연적인 일에 지나치게 관심을 두는 등 전근대적인 세계관을 지녔으며 ‘교리를 중시하는’ 서구 기독교와 매우 다른 것처럼 보인다. 세계 다른 지역의 교회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개인 구원 등을 강조한다면 아프리카 독립 교회는 성령과 공동체에 초점을 둔다. 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은 성령을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병을 고치고 어려움에서 벗어나게 하고, 마음을 움직이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생각한다.
아프리카 독립교단에 속한 교회의 이름들을 살펴보면 아프리카 특유의 종교적 사고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예언하고 복음을 전하는 하나님의 딸들(Prophesying and Evangelizing Daughters of God) 교회, 하늘의 그리스도 교회(Celestial Church of Christ), 알라두라의 주님 교회(Church of the Lord Aladura, 알라두라는 기도를 소유한 사람들이란 뜻, 역주), 하늘의 연인 교회(Sweet Heart Church of the Clouds), 무사마 디스코 그리스도 교회(Musama Disco Christo Church), 영적 치유 교회(spiritual Healing Church), 선지자 시몬 킴방구의 지상의 그리스도 교회(Church of Christ on Earth by the Prophet Simon Kimbangu), 천사 그룹과 스랍의 교회(Church of Cherubim and Seraphim). 1968년에 데이비드 바렛(Davind Barrett)은 자신의 혁신적인 책, 아프리카의 교단 분열과 부흥: 현대의 종교운동 6000개에 대한 분석(Schism and Renewal in Africa: An Analysis of Six Thousand Contemporary Religious Movements)에서 아프리카의 독립 교단들의 등장과 발전을 처음으로 주목했다. 매튜 아주오가(Matthew Ajuoga)는 성공회 신부였지만 지난 1957년 ‘불만에 찬 광신자 집단’이라고 정통 교단으로부터 정죄 당한 모임에 가입한 이유로 성공회에서 제명되었다. 현재 아주오가 목사는 아프리카 독립교단 연합(OAIC: Organization of African Instituted Churches)의 총회장인데, 그의 아프리카 독립교단 연합은 아프리카 각국에 있는 92개의 독립 교단 연합회가 연결되어 있으며, 85백만 기독교인들이 가입되어 있는 범() 아프리카적 신앙 단체이다. (출처: Christianity Today, 2007 11월호, 한국선교연구원(krim.org) 파발마 637)